분류 전체보기 272

Firefox 는 소프트웨어가 아닙니다.

PC사랑에 Firefox Greasemonkey / Stylish에 대한 글을 기고했습니다. 컴퓨터 잡지에 인터넷 소프트웨어에 대한 글을 쓰는 것은 거의 10 년 만인거 같습니다. 요즘은 해외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글만 쓰고 있으니까요. 근데, 정말 오랜만에 자진해서 인터넷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는 Firefox Greasemonkey/Stylish 에 대한 주제로 글을 기고 했습니다. 이유인즉, 저는 Firefox를 단순히 브라우저로 보지 않았습니다. 저는 Firefox를 MS 에 대항하는 대항마로 MS에 맞서 싸우는 자유진영의 무기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넷 초장기 시절 Netscape 플랫폼을 중심으로 SUN 등 여러 연합군들과 동맹 해 거대 제국인 Microsoft에 Active 플랫폼 ( Int..

Firefox 2007.11.19

삼성에서 불법 사이트 운영?

완전 해적 사이트나 다름 없는 사이트를 소개 해 주는 거 같아 소개 할까 말까 하다가 소개 해 봅니다. 저도 사실 얼마전에 알았는데, 지금 방송 중인 실시간 TV 방송을 Activex 같은 거 설치 할 필요 없이 심지어 로그인도 필요 없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네요. 나우콤 아프리카 서비스보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 편하네요. MBC, SBS 같은 방송사에 허락을 받은 것은 전혀 아닌 거 같고요. 저는 처음에 공중파 방송국에 사이트를 분석 해 임베디드 해서 UI만 만들어 방송 해 주는 줄 알았더니, 소스에서 WMV 도메인 주소보니 직접 송출 하는 거 같습니다. (스니퍼 돌려 보면 또 틀리려나?? ) 불법 사이트라 연락처 같은 것도 없고 그렇기에 광고 수주도 불가능 하기에 애드센스 하나 달랑 달아 놓았는데..

정보 2007.11.16

신문 기자들 공부 좀 해라

오늘 아침에 지하철을 타고 오면서, 메트로를 보았습니다. 눈에 띄는 기사가 하나 있었군요. "블로그판 '미수다' ... 팬 500 만" 이라는 기사로 사진과 함께 크게 소개 되어 있더군요. sayaka.tistory.com 을 운영하는 일본인 고마쓰 사아카씨에 블로그를 소개하는 기사였는데, 저는 처음에 오타인줄 알았는데 본문에 좀 더 구체적으로, 하루 방문자가 500만명이 넘는다고 되어 있더군요. 참으로 개념이 여성부더군요. 하루 방문자가 500 만명이면 파란, 야후는 비교도 안 되는 방문자 숫자이며 싸이월드 트래픽을 눈 앞에 두고 있어, 네이버, 다음, 싸이월드와 함께 포탈 4 강에 들 수 있는 방문자 규모입니다. 그 동안 일반인들은 잘 모르지만, 신문에 기사로 실리는 내용 중 인터넷과 IT 관련 기사..

칼럼 2007.11.14

해외 유명 스포츠 실시간 경기 보기

요즘 박찬호, 박지성으로 대표 되는 해외파 스포츠 스타들이 주춤해 해외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예전보다 쬐금! 못한 것이 사실이지만, 그래도 아직도 변함없는 사랑과 관심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죠? 이런 분들 케이블 방송만 기달리는 경우 많은데, 유명 경기만 방송 해 주는데다가 외출 해 있어 방송을 보고 싶어도 못 보는 경우가 많을터인데, 이럴 경우 인터넷 이용해 보시면 됩니다.Sopcast (http://www.sopcast.com) 라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프로그램인데, 나우콤에서 서비스하는 아프리카와 비슷한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 방송을 볼 수 있으며 특히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해외 유명 스포츠 경기를 실시간으로 보고 싶을 때 가장 좋은 대안 중 하나입니다.사용..

정보 2007.11.12

국내 그리스몽키 (Greasemonkey) 스크립트

Greasemonkey에 대한 글을 몇개 포스팅 했는데, 국내에서 사용 할 수 있는 Greasemonkey가 거의 없더군요. 그래서, 그거라도 모아서 소개를 해 드리는 것이 국내 Greasemonkey 활성화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조사를 해 보았습니다. 제가 웹서핑 하면서 찾은 것은 이 정도 되네요. 혹시, 더 아시는 거 있음 댓글에 남겨 주세요. 추가 해 놓겠습니다. - SLR 클럽에 게시판에서 a와 s로 글간 이동 http://trueno.kr/73 - 제로보드 다음글 보기 스크립트 외 http://teslamint.egloos.com/1610972 - 미투데이에서 댓글,퍼머링크,미투리스트 등의 링크에서 마우스를 올..

Firefox 2007.11.09

블로거 여러분들 이벤트 응모 좀 부탁 드립니다.

제가 진행하는 이벤트로 USB 허브와 USB 메모리를 나눠 드리고 있는데, 아직 응모자가 많지 않아 홍보차 올립니다. 아직 사용해 보신 분들이 많지 않은 거 같은데, 블로그에 리뷰를 써 주신 분들에 글을 읽어 보시면 아시겠지만 평가가 나쁘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응모하여 저도 회사 내에서도 힘을 받아, 계속적으로 블로거들을 지원 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많이 기획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블로거 여러분들 리뷰 좀 부탁 드려요 ~~~ 이벤트 주소: http://andu.hanafos.com/event/anduevent_widget/default.asp

기획 2007.11.08

google.co.kr 배경색 파란색으로 변경하는 stylish 스크립트

Greasemonkey가 스크립트를 사용자가 맘껏 변경해 주는 확장 기능이라면, CSS를 사용자가 맘껏 변경해 주는 확장으로는 stylish라는 확장 기능이 있습니다. Firefox, Flock, Thunderbird에서 작동합니다. Javascript가 주로 기능적인 부분을 제어하기 때문에 특정 사이트에 기능을 내 맘데로 변경 해 웹서핑 할 수 있다면, stylish라는 확장 기능은 CSS를 제어하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변경해 웹서핑을 할 수 있습니다. Greasemonkey도 아직 국내에서는 그렇게 많이 보급이 안 되어, 국내 웹사이트에 적용 할 수 있는 스크립트가 많지 않은 것처럼, 마찬가지로 stylish도 국내 웹사이트 관련 스크립트가 별로 없습니다. 다만, 해외에 구글과 야후 관련 스크립..

Firefox 2007.11.07

Greasemonkey와 Greased Lightbox

이번년도 초만해도 국내 Firefox 사용자들 사이에서 Greasemonkey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죠. 심지어, 웹에 혁명이다라고까지 이야기 하시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저는 이 말을 국내 사용자들이 Greasemonkey를 설명하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인줄 알았더니 혁명이라는 이야기는 외국에서 먼저나왔더군요. 외국 사이트 돌아다니다 보면 Greasemonkey에 대해 찬양하면서 혁명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더군요. 저도, 이 주장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동의하는데, 이유는 Greasemonkey 등장 이전에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기능과 UI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했죠. 일부 사이트에서 설정 기능을 제공해 주긴했지만 이것도 결국 기획자에 치밀한 계산에 따른 또 다른 UI에 불과했죠. 하지만, Greasemonk..

Firefox 2007.11.06

웹TV가 뜨는 이유

금년도 초에 해외 블로거들 사이에서 가장 관심을 끈 프로그램은 Joost 였습니다. 그 인기를 증명하듯 Joost는 세계에서 가장 큰 블로그 검색 사이트인 Technorati.com 에 이번년도 내내 인기 검색어로 올라가 있었습니다. Joost는 쉽게 설명 드리면 국내에 곰플레이를 개발한 그래텍에서 서비스하는 곰TV와 비슷한 웹TV 서비스입니다. 하지만, Techonorati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던 이번 년도 초에 Joost는 정식 서비스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기 많은 사람들에 관심을 얻었던 이유는 창업자에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Joost 의 창업자는 Niklas Zennström 인데, 학창 시절부터 유명했던 인물입니다. 정보는 무제한적으로 공유 되어야 한다고 평상 시 생각을 바탕..

정보 200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