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검색을 기반으로 한 네이버가 검색 외에도 모든 서비스를 먹고 가고 있는 것처럼, 미국 시장도 검색을 기반으로 한 구글이 야금 야금 다른 서비스를 먹어 가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검색 이외에 서비스에 진출하면 벤처가 일구어 나가고 있는 시장을 빼았는 것이고, 구글이 검색 이외에 서비스를 진출하면 뭔가 새로운 기술로 신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라는 다른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구글 생각만큼 획기적인 거 하지 않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인식 기술을 제공하는 Polar Rose (0) | 2007.10.30 |
---|---|
파나마 프로젝트 이후 야후 검색 점유율 변화 (0) | 2007.10.25 |
BEBO와 AOL과 AIM 제휴를 맺었습니다 (0) | 2007.10.25 |
올블로그 (allblog) 트래픽 현황 (10) | 2007.10.23 |
Netvibes와 블로그코리아 (0) | 2007.10.22 |
RSS Reader와 Social Bookmarking 사용자 통계 (9) | 2007.10.17 |
위젯이란? ( widget ) (6) | 2007.10.09 |
Web widget (위젯) 에 유래 (2) | 2007.10.08 |
AIR Showcase (0) | 2007.10.05 |
Pownce 에 소개 중 재미 있는 거. (0) | 2007.10.04 |
Joost, Pownce 초대장 드립니다. (32) | 2007.10.04 |
우와~ 이런 기능도 있었군요 정말 이렇게 하면 어디서 자신의 블로그 통계를 내기가 정말 편할것 같아요 >_<
댓글을 잘못 다신거 아닌가요? ^^
엇... 잘못봤군요 네이버나 구글 여러블로그를 그래프로 통개내는 걸루 읽었네요 이제보니까 각 서비스벌 사용자 통계였군요 ㅎㅎ
NHN은 자기 자신이 적을 만드는 형국이죠. 고위 경영진들이 그에 대한 위기의식이 거의 없는 듯..
jef .. 나 블로그에 와서 댓글을 자주 달아 주는 군. 땡큐
나도, NHN 이 그런 경향이 있다는 것은 동의하나, 잘 한 것도 많은데 일방적으로 블로거들에게 공격 받고 있다는 생각임.
Addthis.com을 사용하여 구독기에 추가하는 사람들은 Google Reader를 많이 사용하는군요. 하지만, 아직 전체 RSS reader 점유율은 Bloglines가 훨씬 앞서있습니다.
이야기 하신 것과 같이 addthis.com 사용자 중에 google reader 사용자가 많은 거 같습니다.
얼마전에 제가 올린 통계만 봐도, Bloglines 를 아직 더 많이 이용하는 거 보면....
http://doimoi.tistory.com/36
저도, Bloglines를 주로 이용하는데, 사실 RSS reader라는 것이 기능이 뻔해서, 기존 트래픽을 많이 가지고 있는 Google 같은 대형 포탈이 유리한 것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결국 딜리셔스와 스텀블어펀 이 두개로 양분되었다는 글을 본 것도 같은데, 그럼 이건 2008년 이후의 일일까요?
소셜 북마크의 개념을 어디까지 보냐에 따라 다른 거 같습니다. 표에서 보는 것처럼 개인적으로 즐겨 찾기 해 놓은 것도 소셜 북마킹 서비스로 보았고 Facebook도 SNS지만 소셜 북마킹로 보았네요. 제가 생각하기에도 지나치게 개념을 넓게 본 거 같습니다.